2024.06.07 (금)

  • 구름많음속초22.6℃
  • 구름많음24.2℃
  • 구름많음철원24.1℃
  • 구름많음동두천24.0℃
  • 구름많음파주24.2℃
  • 구름많음대관령22.3℃
  • 구름많음춘천24.9℃
  • 흐림백령도21.2℃
  • 구름많음북강릉23.4℃
  • 구름많음강릉24.9℃
  • 구름많음동해22.0℃
  • 흐림서울25.0℃
  • 구름많음인천23.0℃
  • 구름많음원주24.9℃
  • 구름조금울릉도20.6℃
  • 구름많음수원24.0℃
  • 구름많음영월23.0℃
  • 구름많음충주24.0℃
  • 구름많음서산25.2℃
  • 구름조금울진20.2℃
  • 구름많음청주25.6℃
  • 구름많음대전26.1℃
  • 구름많음추풍령24.8℃
  • 구름많음안동24.6℃
  • 구름많음상주25.6℃
  • 구름많음포항24.6℃
  • 구름많음군산25.3℃
  • 구름많음대구26.1℃
  • 구름조금전주25.2℃
  • 구름많음울산25.6℃
  • 구름조금창원27.1℃
  • 흐림광주24.7℃
  • 구름많음부산25.6℃
  • 구름많음통영24.3℃
  • 흐림목포23.6℃
  • 구름많음여수24.1℃
  • 흐림흑산도22.7℃
  • 흐림완도24.4℃
  • 흐림고창25.6℃
  • 구름많음순천24.3℃
  • 구름조금홍성(예)24.6℃
  • 구름조금23.5℃
  • 구름많음제주24.7℃
  • 흐림고산22.9℃
  • 흐림성산21.8℃
  • 흐림서귀포22.0℃
  • 구름많음진주25.4℃
  • 구름많음강화21.9℃
  • 구름많음양평23.8℃
  • 구름많음이천23.8℃
  • 구름많음인제24.8℃
  • 구름많음홍천23.6℃
  • 구름많음태백25.1℃
  • 구름많음정선군26.9℃
  • 구름많음제천23.6℃
  • 구름조금보은24.3℃
  • 구름조금천안25.0℃
  • 구름많음보령25.2℃
  • 구름조금부여24.8℃
  • 구름많음금산24.2℃
  • 구름조금25.3℃
  • 구름많음부안26.0℃
  • 구름많음임실24.6℃
  • 흐림정읍25.9℃
  • 구름많음남원25.8℃
  • 구름많음장수23.6℃
  • 흐림고창군24.0℃
  • 흐림영광군24.6℃
  • 구름많음김해시26.3℃
  • 구름많음순창군25.2℃
  • 구름많음북창원27.1℃
  • 구름많음양산시27.1℃
  • 구름많음보성군24.9℃
  • 흐림강진군24.6℃
  • 구름많음장흥24.6℃
  • 흐림해남24.0℃
  • 구름많음고흥26.4℃
  • 구름많음의령군27.7℃
  • 구름많음함양군25.5℃
  • 구름많음광양시26.1℃
  • 흐림진도군24.1℃
  • 구름많음봉화23.9℃
  • 구름많음영주23.7℃
  • 구름많음문경24.2℃
  • 구름많음청송군26.4℃
  • 구름조금영덕26.2℃
  • 구름많음의성25.1℃
  • 구름많음구미25.7℃
  • 구름많음영천26.3℃
  • 구름많음경주시28.2℃
  • 구름많음거창24.7℃
  • 구름많음합천26.2℃
  • 구름많음밀양26.8℃
  • 구름많음산청25.8℃
  • 구름많음거제25.8℃
  • 구름많음남해24.3℃
  • 구름많음26.8℃
약용작물, 제때 수확해 말려야 수량 많고 품질 좋아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뉴스

약용작물, 제때 수확해 말려야 수량 많고 품질 좋아

도라지, 작약 등 작물별 수확 시기와 건조 조건 제시

 

농촌진흥청은 약용작물 수량과 품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작물별 알맞은 수확 시기와 건조 조건 등을 제시했다.

뿌리 부분을 활용하는 약용작물은 일반적으로 잎이 지고 생육이 멈추는 늦가을에 수확을 한다.

도라지는 식용으로 쓸 때는 일 년 내내 수확할 수 있지만, 약용으로 쓸 때는 심은 지 3∼4년 차에 지상부(윗부분)가 완전히 말라 죽은 후나 이른 봄께 수확해야 품질이 좋다.

작약은 종근(씨뿌리)을 아주심기 했다면 3~4년 차, 잔뿌리가 나오기 전인 9월 말~10월 말 사이 수확한다. 지상부가 일찍 말라 죽었다면 광합성 능력이 떨어져 수량이 더 늘지 않으므로 일찍 수확해 밭의 이용도를 높이는 것이 좋다.

더덕은 밭에 심은 뒤 2∼3년 차에 수확할 수 있다. 1개당 무게가 30∼50g 이상이 돼야 상품성이 있으므로, 뿌리 자람 상태에 맞춰 수확기를 정한다.

황기는 약용으로 쓸 때는 3년 차 늦가을에 잎과 줄기가 마르면 수확한다. 뿌리가 곧고 깊게 뻗어 괭이로 수확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3년생 이상일 때는 굴삭기를 활용한다.

삽주(백출)는 10월 말부터 잎과 줄기가 누런색으로 변했을 때 수확하는 것이 수량과 품질 측면에서 좋다.

수확한 약용작물은 흙과 잔뿌리를 없애고 되도록 빨리 건조, 가공해야 부패를 줄이고 약재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를 사용할 때는 60도(℃) 이하에서 말리는 것이 좋다. 작물별 알맞은 건조 온도는 도라지, 황기 등은 40도(℃), 삽주는 50도(℃) 정도이다.

수확한 뒤 바로 건조, 가공하는 것이 힘들 때는 바람이 잘 통하고 비를 맞지 않는 곳에 작물을 보관한다. 작물에서 발생하는 호흡열이나 통풍 불량으로 품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관리에 신경 쓴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약용작물과 윤영호 과장은 “약용작물은 수확 시기나 방법에 따라 생산량과 품질이 좌우되므로 올바른 수확과 건조 방법으로 생산량과 품질을 높여야 한다.”라고 전했다.

삽주를 재배하는 김대근 씨(경북 문경)는 “약용작물은 품목이 다양해 기본적인 재배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 제때 수확하고 올바르게 건조해 고품질의 약용작물을 생산하겠다.”라고 말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